본문 바로가기
간호학정리

뉴런의 막전위 변화 (분극, 탈분극, 재분극)

by 감실이 2023. 3. 2.

 

1. 뉴론(신경세포)

신경계를 구성하는 구조적, 기능적 단위이다.

뉴론의 구조

2. 뉴런의 종류

1) 말이집 유뮤에 따른 분류 

· 말이집 신경 / 민말이집 신경 - 전도 속도: 말이집 신경>민말이집 신경

 

2) 기능에 따른 분류

· 연합뉴런 - 중추신경계(뇌,척수)를 이루는 신경

· 구심성뉴런 - 감각기관에서 받은 정보를 중추신경으로 전달한다

· 원심성 뉴런- 중추신경으로 부터 정보가 나가도록 한다

 

뉴론의 전위차 측정

뉴론이 분극상태일때 휴지막 전위가 -70 ~ -90mV인데 그렇다면 그 이유는??

3. 세포안이 음전하인 이유

1) Na+, K+ pump 작동

- Na, K 펌프는 막전위와 상관없이 항상 Na+ 내보내고 K+ 들여보내는데 ATP 소모하는 능동수동에 해당 

; 쉽게 설명하면 Na+ 3개 보내면 K+는 2개 들여보내게 되어 세포안이 음전하 유지

2) 이온의 투과성의 다름

- 통로들은 이온의 방향을 정하지 않고 문만 열어준다.(길만 터주는 역할)

이온의 방향은 농도의 의한 이동된다. 에너지가 필요없는 확산에 의하여 고농도에서 저농도 이동한다.

- 문제는 Na+ 통로는 분극상태일때 거의 닫혀 있지만 K+ 통로 일부는 분극상태일때 항상 열려있다. 따라서, 세포안의 고농도의 K+ 이온이 세포 밖으로 나가므로 세포 안은 마이너스 전압을 유지한다.

3) 세포안의 음전하 단백질이 분포

- 단백질은 입자가 커서 이동이 어려움

분극, 탈분극, 재분극
이 부분을 잘 이해해야 심장파트 약물공부에 어려움이 없다. 가장 기본 중의 기본

막전위 곡선

자극에 의해 뉴런의 전위차의 변화가 일어난다.

 

4. 세포의 막전위

1) 분극상태(polarization)

- Sodium-Potassium pump 작동

- 이온 투과성에 의하여 K+ channel 통해 K+ 세포 밖으로 나간다.

- 세포 안 음전하 단백질의 분포

(위에 설명한 세포내 음압의 이유 3가지가 여기에 해당)

2) 탈분극 (depolarization)

- 자극에 의해 Na+ channel 열려 Na+ 이온이 농도차에 의해 세포 안으로 쏟아져 들어옴 

--> 세포안 양압으로 변함 (활동전위가 발생함)

- 이때 세포내의 Ca++는 Na+에 붙어서 Na+이온이 활성화 되도록 도와준다 (수축이 제대로 되도록 하는 역할)

3) 재분극상태 (repolarization)

- 자극이 멈추면 Na+ channel 닫힌다. Sodium-Potassium pump, K+ channel 계속 열려있다.

- 세포내 전압이 다시 마이너스가 되기 위해 세포안의 쏟아져 들어온 Na+ 나가야 한다. 

  • sodium-potassium pump 통해 가능하나 이 펌프는 항상 열심히 일하지만 일하는 속도가 느리다. 🐢.🐢..
  • Na channel은 아직도 세포밖에 Na+ 농도가 높아 확산에 의해 열리는 쇼듐채널로 나갈수가 없다.
  • 결국 세포안의 음전하를 유지하기 위해서 세포안의 K+ 세포 밖으로 보내야 한다. 따라서, K+ 채널이 다 열린다.
  • 또한, 지속적으로 sodium-potassium pump 계속 작용하므로 다시 분극상태가 되는것이다.